2018년 4월 14일 토요일

万葉集 406 : 吾祭 神者不有 내사마 神은 없어도 わがま みことはあらず (枕詞)

吾祭 神者不有 大夫尓 認有神曽 好應祀.
(わがま かみはらず ますらをに みとかみぞ ようま.)
(wagama kamiharazu masurawoni mitokamizo youma.)
(와가마 카미와라즈 마스라오니 미토카미조 요우마.)
내사마 神은 없어도 益荒男정도의 神이라면 좋이맞을터.

原文: 吾祭 神者不有 大夫尓 認有神曽 好應祀.

cf.1 '神'의 破字 : 示口十 (みこと) ; '神' hier bedeutet kein Gott sondern Genital.
  *神 > (破字) > み(미>밑 ; Unter) + こと(것 ; Ding) >> Genital
      likewise 神=命=海 >みこと
cf.2 神者不有(みことはあらず) <かみはらず
cf.3 大夫 = 益荒男:ますらを < まさらを < ます(益)+あらを(荒男)

2018년 4월 11일 수요일

호열자 아니다. 한자를 잘못 읽어(誤讀) 오기(誤記)한 것입니다. 剌(수라 라) vs 刺(찌를 자) : 콜레라(cholera)

콜레라'를 한자로 표기할 때에 '虎列刺'(호열자)로 적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虎列剌(호열라;호렬라)의 오기 誤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콜레라(cholera)란 말을 도입할 때 한자(중국어)표기인 虎列剌의 마지막 글자인 剌(수라 라)를 刺(찌를 자)로 잘못 읽어 虎列刺(호열자)가 된 것입니다.

2018년 4월 6일 금요일

万葉集 424 : 隱口乃 泊瀬越女我 手二纒在 玉者乱而 有不言八方 가쿠노 하세메가 데니마카리 かくの はつせをとめが てにまかり たまみだれ うんふごやも가쿠노 하세메가 데니마카리 다마미다레 응후고야모 (枕詞)

隱口乃 泊瀬越女我 手二纒在 玉者乱而 有不言八方.
(かくの はつせをとめが てにまかり たまみだれ うんふごやも.)
(kakuno hatusewotomega tenimakari tamamidare unfugoyamo.)
(가쿠노 하세메가 데니마카리 다마미다레 응후고야모.)

原文: 隠口乃 泊瀬越女我 手二纒在 玉者乱而 有不言八方.

cf.1 泊瀬越女(はつせをとめ) = 初瀬女(はせめ)(#912)
cf.2 有 : う(ん) ; 응; yes

万葉集 428 : 隱口能 泊瀬山之 山際尓 伊佐夜歷雲者 妹鴨有牟 かくの はせめの やまに いさよふくもは いもからむ 가쿠노 하세메노 야마니 이사요후 구모와 이모카라무 (枕詞)

隱口能 泊瀬山之 山際尓 伊佐夜歷雲者 妹鴨有牟.
(かくの はせめの やまに いさよふくもは いもからむ.)
(kakuno hasemeno yamani isayohukumowa imokaramu.)
(가쿠노 하세메노 야마니 이사요후 구모와 이모카라무.)

原文: 隠口能 泊瀬山之 山際尓 伊佐夜歴雲者 妹鴨有牟.

cf.1 泊瀬(はせ) : 初瀬(はつせ)
cf.2 山際尓(やまのはに) > やまに
cf.3 伊佐夜歴 = 不知夜歴(いさよふ) : 猶予ふ
cf.4 妹鴨有牟 = 妹尓鴨在武(#1407 ; いもにかもあらむ) > いもからむ

2018년 4월 4일 수요일

伏包秋(복포추) : 입추와 말복이 같은 날이며, 말복이 입추를 품었다 해서 복포추(伏包秋)라고 한다

삼복은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庚日 : 干支天干에 庚자가 들어가는 날)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立秋)후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이 세 복날을 통틀어 삼복(三伏)이라 한다.

말복은 입추(立秋) 뒤에 오기 때문에 (2014년 같은 경우)
입추와 말복이 8/7 같은 날이며, 말복이 입추를 품었다 해서 복포추(伏包秋)라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입추는 입추일이라기보다 입추의 절입시각(예; 2014년은 8월 7일 23:02)으로서 입추후에도 같은 날에 경일[庚戌]이 지속되므로 입추 후에 오는 경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