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에 上毛野는 上野国、下毛野는 下野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할 때, 毛野의 毛는 생략해도 좋은 글자로 보이며,
따라서 万葉集의 可美都氣野나 之母都家野의 毛野는 애초에 고유명사가 아니라 윗께(메 or 나),아랫께(메 or 나) 하는 '윗마을 언저리' 또는 '아랫마을 언저리'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참조1 印南野(#1178)(いなまえ;inamae or inammae) = 思賀麻江(しかまえ; 只前=只先=直前 ) *참조2 께 :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