万葉集의 전체 4,516首 중 511군데(万葉仮名분 除外)에 나오는 이모(いも; 妹)는, 남자가 여자를 이무롭게 부르는 말로서 主로 妻 또는 戀人을 뜻한다.
근자에 식당 등의 여자종업원(또는 식당주인)을 부를 때에 비속어로 사용하는 '이모'라는 말이 혹시 1400년 전 일본에서 쓰던 말이 되살아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cf.1 妹(いも) : 男が女を親しんでいう語. 主として妻・恋人をさす.
2014년 10월 22일 수요일
2014년 10월 4일 토요일
万葉集의 毛野는 애초에 固有名詞가 아니라 윗께, 아랫께 하는 普通名詞(께매;ggemae;ケマえ )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上毛野는 上野国,下毛野는 下野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할 때,
毛野의 毛는 생략해도 좋은 글자로 보이며,
따라서 万葉集의 可美都氣野나 之母都家野의 '毛野'는
애초에 고유명사가 아니라 윗께(메 or 나),아랫께(메 or 나) 하는 것처럼
'윗마을 언저리' 또는 '아랫마을 언저리'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cf.1 印南野(#1178)(いなまえ; inamae or inammae) =
思賀麻江(しかまえ; 只前=只先=直前 )
cf.2 께(毛) :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
毛野의 毛는 생략해도 좋은 글자로 보이며,
따라서 万葉集의 可美都氣野나 之母都家野의 '毛野'는
애초에 고유명사가 아니라 윗께(메 or 나),아랫께(메 or 나) 하는 것처럼
'윗마을 언저리' 또는 '아랫마을 언저리'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cf.1 印南野(#1178)(いなまえ; inamae or inammae) =
思賀麻江(しかまえ; 只前=只先=直前 )
cf.2 께(毛) :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
피드 구독하기:
덧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