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23일 금요일

북경사람은 상해사람 말을 한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Shanghainese ;上海語)

北京人은 上海人의 方言(上海語)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중국어에는
표준어인 보통화 普通話와 7대 방언 方言을 포함하여 수많은 방언이 있다.
(그러나 타이완 표준어는 國語라고 하며 보통화와 97% 정도가 같다고 한다. 물론 타이완에도 両岸 본래의 엄청난 방언이 존재한다.)

보통화는 1950년대 설정되어 소학교에서부터 가르쳐 왔기에 (홍콩 및 일부 자치구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방언을 모태어로 하는 지역에서도 장애없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언이라고 하는 것이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평안도 등의 사투리와는 전혀 틀리며, 글자만 같지 발음은 외국어라고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성조도 보통화는 4성인데 상해어는 7성이다.)
예를들어 상해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상해말로 이야기하다가 외부사람이 오면 보통화로 말한다.
그런데 북경사람은 상해말을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 과장해서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오늘,내일,감사합니다 등과 같이 가장 쉽고 많이 쓰는 말조차도 전혀 알아듣지 못한다. 글자그대로 100% 모른다.

또한 상해지역을 포함하여 같은 오(吳)방언에 속하는 영파(寧波;Ningbo; 영파시의 면적은 서울의 16배로 11배인 상해시보다 넓다.)사람은 상해말을 대체로 이해하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이는 아마도 영파말이 상해말 쪽에서 갈라져 나온 게 아닌가 생각된다.)

2012년 3월 22일 목요일

홀규 圭 지게호 戶

홀규 圭
이름 자에 흔히 쓰이는 글자로 쌍토 규자라고도 하는데,뜻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홀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옥 등으로 만든 물건으로 작게는 노리개 크게는 지팡이 크기까지 될 수 있다.
(古代帝王或诸侯在举行典礼时拿的一种玉器)
참조 : 圭의 이미지
圭 자는 상형 象形으로 흙土 자 두 개라기보다, 임금 王 자 위에 十 자가 올려져 있는 모습이다.


지게호 戶
지게 호 자라고 할 때 흔히 등에 지는 지게를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 지게가 아니고 외짝문(글자 모양대로)을 가리킨다.

2012년 2월 5일 일요일

기독교 등 유일신을 믿는 사람은 지방에 신위를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제사의 지방 쓸 때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등 신위神位라고 끝부분에 쓰곤 하는데 이는
유교에서 사람이 죽으면 누구든지 하나의 신의 자리 즉 신위神位에 오른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카뻘이 되는 사람이 죽어도 문상 때 큰절을 한다.즉 어떤 산 사람(人位)보다도 죽은 사람(神位)이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일신을 믿는 기독교(가톨릭 포함) 등에서는 보통사람의 神位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신위만 빼고 지방을 쓰면 우리나라 전통제례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또한 큰절을 할 것이냐 여부는 망자와 자신과의 생전의 관계를 생각해서, 망자에게 반말을 하는 사이면 큰절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구지간도 마찬가지다.

2012년 1월 1일 일요일

새해의 해는 태양(1주기)이므로 음력의 달과는 상관이 없다.

음력과 양력에서 보았듯이,
한해는 음력(태음태양력의 준말)으로 12달도 되고 13달도 되었다가 하기에, 1년을 정하는 정확한 기준이 될 수 없으므로,일찍이 사주팔자(四柱八字)(太歲,月建,日辰,時支의 간지 합이 8字)에서도 한해의 시작을 음력 정월초하루로 하지 않고 입춘(立春 또는 冬至)으로 정함으로써 달이 차고 기욺과는 상관이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음력에서도 한해의 구분은 (입춘 또는 동지가 24절기의 하나이므로) (태)양력을 기준으로 한다는 말이 된다.
사주(四柱) 중에서 첫번째 분류(干支)가 되는 태세太歲(예; 임진생 壬辰生)가 입춘을 기준으로 하느냐 동지(冬至)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현존하는 우리나라 사람들 6백만 명의 운수(運數)가 근본적으로 달라진다.
하루의 기준이 되는 자시(夜子時와 正子時)를 결정하는 것도,표준시를 동경(東經) 127.5도를 기준으로 하느냐 일본시(日本時)(현행)를 따르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출생지가 백령도(白翎島)냐 독도(獨島)냐에 따라서 운수가 바뀔 수 있다.
입춘설은 한해의 시작을 춘하추동의 봄이 시작되는 것으로 한다는 것인데, 호주에서 보면 입춘은 가을이 시작하는 때이므로 입추(立秋)라 할 수 있다. 낮이 가장 짧은 날인 동지나 가장 긴 날인 하지(夏至)를 한해의 기준으로 하는 것이 확실하게 보이며, 4대 문명의 발상지가 북반구에 있고 입춘보다는 인식하기가 보다 확실한 동지(冬至)로 일년을 구분하는 것이 더 과학적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띠(生)도 마찬가지다.
금년 2012년 1월1일 생이 임진생 흑룡띠이냐 아니면
음력 정월초하루(1/23)전날까지는 신묘생(辛卯生) 토끼띠냐(또는 2/4 입춘 전날까지) 하는 것도  위에서 말한 동지설/정초설/입춘설에 따라서 모두 달라지게 된다.

2011년 5월 17일 화요일

제사 전날밤? 아니다 ;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야 한다.

제사는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내야 하는가?
제사祭祀는 보통 기일忌日 전날 밤 늦게 지내기 때문에 기일 전날에 지내는 것으로 알기 쉬운데, 사실은 옛날 시간으로 자시子時가 하루의 시작이므로, 子時(밤11시부터 새벽1시까지 ; 정확하게는 23시30분부터 01시30분)에 지내는 제사는 이제 바야흐로 밝아오는 새날(기일)에 지내는 것이 된다.(현재 한국 표준시는 한반도의 중심인 동경 127.5도가 아닌 일본의 중심선인 동경 135도를 취하고 있으므로 30분을 늦추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간혹 기제일을 잘못 알고 별세한 전날 저녁 7~8시경에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있는데,기제사는 별세한 날에 지내는 제사이므로 전날밤에 지내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새벽에 모이기 힘든 바쁜 현대생활을 감안하여 일과가 끝난 기일 저녁에 제사를 지내는 것도 현실적인 방편의 하나라 하겠다.

참고로 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옛날 음식과 진설방식陳設方式보다, 고인이 즐기던 음식을 안쪽(밥/국)에서 바깥쪽(디저트)으로 식사순으로 차리고, 어려운 지방紙榜은 사진으로 대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사는 지내는 것이 안 지내는 것보다 낫다.
또한 제사의 절차나 형식(절을 하느냐 마느냐) 등으로 다투는 것은 고인을 추모하는 자세라고 할 수 없다.
더군다나 다툼이 지나쳐 가족간/동기간에 의까지 상한다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만 못하다 하겠다.

2011년 1월 23일 일요일

음력과 양력 ; 당신은 음력으로 태어났는가?

음력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특히 우리나라에서는)태양의 1주기를 고려한 태음태양력을 일컫는다.

양력(태양력)은 1년이 365일(정확하게는 365.2425일)이므로 대략 4년에 한번꼴로 2월에 하루(윤일;29일)를 더하여 한 해를 맞추어 나가지만,

음력은 한달(삭망월)이 29.53일이므로 12달이 지나도 지구공전주기보다 약 11일, 3년이 지나면 약 33일이 모자라게 된다. 따라서 대략 19년에 7번 꼴(더 간단하게 말하면 3년에 한번)로 윤달을 두게 된다.


따라서 한 해의 시작인 음력 설날을 해(공전 1주기)의 개념에서 보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하여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게 된다. 어떨 때는 12달, 다른 때는 13달이 한해(공전1주기)가 된다는 식이다.

그냥 정월 대보름이나 추석처럼 아예 달을 쳐다보며 확인하는 날(명절)이라면 별 문제 될 것이 없지만, 어떤 해는 354일,또 다른 해는 384일이 한 해라고 하니,여기에 맞추어 계획을 세우고 농사를 짓고 할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24절기도 마찬가지다. 지구의 공전 1주기를 계절에 따라 24등분한 절기는 양력으로는 하루 이틀 차이로 정확하지만(큰달 작은달 그리고 윤년의 하루 플러스 등으로 조금씩 차이가 남), 음력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아주 불확실하게 된다.

한편,조상들이(새해의 첫날로)지내온 음력 설을 차례등 전통명절로 지내는 것은 좋지만, 한해의 새로운 시작으로 쇠는 것은 양력으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닐까?

생일을 음력으로 쇠는 것이 좋으냐, 양력으로 쇠는 것이 좋은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필자는 묻고 싶다. 당신은 음력으로 태어났는지? 양력으로 태어났는지?
만약 음력으로 태어나고 당신 부모님이 살아계시다면 음력으로 생일을 쇤다.
(단지 음력 날짜만 알고 있다는 뜻이 아니다. 그럴 땐 컴퓨터 조회하면 바로 양력 날짜를 알 수 있다.
요일까지도 알 수 있다.)

제사도 마찬가지다.
당신 부모님 중 한분이 음력으로 돌아가셨고 살아계신 부모님 중 한분이 음력으로 기억하고 계시다면 음력으로 제사를 지낸다.(문중에서 양력을 반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생일이나 제사 등 행사와 관련하여 문중이나 가까운 친척들이 강력히 반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양력으로 전환하여 중요한 이벤트를 빠짐없이 챙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객담으로 사주팔자 四柱八字(년, 월, 일, 시를 네 기둥 四柱인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로 하여 각 柱의 간지干支를 더하면 여덟 자가 된다; 쉽게 말하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하는 것이 년,월,일,시에 2자씩 합계 8자가 들어간다고 해서 4주8자라고 한다.)에서 年柱는 한 해에 대한 干支이므로 위에서 말한 것처럼 한달씩 늘었다 줄었다 해서는 아니 되므로,음력 정월 초하루부터가 아니라 봄기운이 일어나는 立春 또는 冬至를 기준으로 한해의 시작(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설이 일찍부터 경합해 왔고, 동지설이 더 유력하다고 한다. 따라서 음력으로 한해(또는 띠)를 따질 때 정월초하루가 아니라 동짓날부터 기산하는 게 더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년은 지난 동지(2010.12.22)로부터 시작된 신묘년(辛卯年)이라 할 수 있다.

2011년 1월 19일 수요일

함바(飯場)는 밥먹는 곳이다

일본어 飯場(함바)의 場의 훈은 '바' 즉 '곳'이라는 우리나라 옛말이다. 場所의 所를 '바소'라고 할 때의 그 '바'다. 그러면 飯의 발음인 HAN은 단순히 한자의 일본식 발음일까? 즉 飯場은 飯의 음독과 場의 훈독을 합한 말일까?

めしば가 아니라 굳이 はんば라고 한 것은 HAN이라는 발음 자체가 밥(이나 빵)이란 말에서 온 것이 아닐까?

飯의 어원을 한번 체크해 보자.
PAN (라틴어 빵 : PANIS ANGELICUS)
PAO (포르투갈어 빵)
FAN (보통화)
BUHNG(복건어)
BAP (우리말)
HAN (일본어)
* PAN, BAN, FAN, HAN은 서로 넘나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어인 HANBA는 우리말 밥바(밥터;밥먹는 곳)가 일본에 가서 자연스럽게(오랜 세월을 거쳐서) 일본식으로 불리어진 게 아닐까?

또한 함바는 그냥 함바라고 해야지, 함바집이라고 부르는 것은 함바집의 집 자가 역전앞의 앞 자처럼 군더더기말이 되는 것이다.(마치 태스크포스를 태스크포스팀이라고 잘못 쓰는 것처럼)

한편 우리말의 감(ㄱㅁ;神)이 일본에 가서 神田(kanda),神戶(kobe) 등이 된 예도 주목해 보아야 한다.
神田(kamta->kanda 간다) : 神의 땅(따)
神戶(kamhe(カムヘ)->kanbe(kambe)->kaube->koube(Kōbe) 고베): 神의 집
*神田 및 神戶는 보통명사로도 쓰인다.

cf.1 飯場
飯場(はんば)とは、山間奥地の土木工事、建設現場の給食施設、休憩施設、宿泊施設の こと(Wikipedia)

cf.2 ㄱㆍㅁ 사상(정재도)
우리 조상들에게는 ‘ㄱㅁ’ 사상이 있었다. ‘ㄱㅁ’은 “거룩하다, 높다, 위, 신(神), 크다, 훌륭하다, 좋다” 들을 뭉뚱그린 ‘으뜸’이란 뜻의 옛말이다.
‘ㄱㅁ’은 현대말로 ‘감, 검, 곰, 금, 김’ 들로 바뀌어 ‘上)’(상감), 王)(왕검), )女(곰녀), 임)(임금), )마로(김수로), 대)(대감), 영)(영감) 들로 쓰인다.

cf.3 STAN (ㅅ단 ; ㅅ당 ; 땅 ; 따)
KazakhStan : Kazakh(자유유목민)의 땅
UzbekiStan : Uzbek(징기스 칸 후손의 이름)의 땅
KyrgizStan : Kyrgiz(불멸)의 땅

2010년 8월 7일 토요일

삼복(초복 중복 말복) : 말복은 입추 후 첫째 경일로서 중복 후 10일이면 매복이고 20일이면 월복이 된다.

2024년 삼복은 초복: 7월15일 중복: 7월25일 말복: 8월14일(월복;越伏)이다. 
삼복은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庚日 : 干支天干에 庚자가 들어가는 날; 2010년은 7/19 庚午)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2010년은 7/29 庚辰)을 중복(中伏),
입추(立秋; 2010년은 8/7)후 첫째 경일(2010년은 8/8 庚寅)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이 세 복날을 통틀어 삼복(三伏)이라 한다.

한편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들기 때문에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리게 된다.
2014년처럼 20일 만에 삼복이 들면 매복(每伏)이라고 한다.
하지만 말복은 입추(立秋) 뒤에 오기 때문에 만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이 되면 경일(庚日)을 한 번 건너 뛰었다 해서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2024년(월복) 초복 7/15 중복 7/25 (입추 8/7) 말복 8/14
2023년(월복) 초복 7/11 중복 7/21 (입추 8/8) 말복 8/10
2022년(월복) 초복 7/16 중복 7/26 (입추 8/7) 말복 8/15
2021년(월복) 초복 7/11 중복 7/21 (입추 8/7) 말복 8/10
2020년(월복) 초복 7/16 중복 7/26 (입추 8/7) 말복 8/15
2019년(월복) 초복 7/12 중복 7/22 (입추 8/8) 말복 8/11
2018년(월복) 초복 7/17 중복 7/27 (입추 8/7) 말복 8/16
2017년(월복) 초복 7/12 중복 7/22 (입추 8/7) 말복 8/11
2016년(월복) 초복 7/17 중복 7/27 (입추 8/7) 말복 8/16
2015년(월복) 초복 7/13 중복 7/23 (입추 8/8) 말복 8/12
2014년(매복) 초복 7/18 중복 7/28 말복(입추) 8/7 伏包秋(복포추)
2013년(월복) 초복 7/13 중복 7/23 (입추 8/7) 말복 8/12
2012년(매복) 초복 7/18 중복 7/28 말복(입추) 8/7 伏包秋(복포추)
2011년(월복) 초복 7/14 중복 7/24 (입추 8/8) 말복 8/13
2010년(매복) 초복 7/19 중복 7/29 (입추 8/7) 말복 8/8

*2014년과 2012년은 입추와 말복이 8/7 같은 날이며, 말복이 입추를 품었다 해서 복포추(伏包秋)라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입추는 입추일이라기보다 입추의 절입시각(2014년은 8월 7일 23:02)으로서 입추후에도 같은 날에 경일(庚戌)이 지속되므로 입추 후에 오는 경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