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사이시옷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사이시옷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11월 5일 일요일

오십천: 사양지심은 예지단이요, 측은지심은 인지단이라

네 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우리 고향에는 오십천이라는 작지만 긴 내가 흐르고 있다.
백 내도 아니고 오십내라니, 뭐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아무리 생각해 보고 물어보고 검색도 해 봤지만 알려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어느 날 김부식이 쓴 3국사기를 읽다가 이사부와 거칠부 두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두 사람 모두 문과 무를 두루 갖춘 훌륭한 장수라고 한다. 
여하튼 걸걸한 장부라고 할까?
(두 장수는 이름이 비슷하여 혹시 같은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그러나 저러나 이사부나 거칠부 아무리 보아도, 이름이 한자로 쓰여 있지만 한자말이 아닌 우리말 같은 생각이 들었다.
거칠부는 거칠’황’자를 써서 황종이라고도 하니 거친남자라고 추정할 수 있으나,
이사부는 전혀 우리말 같지 않다.
이리저리하다가 이사부의 마지막 글자 지아비’부’자가 부>우>오로 변하고
‘이’자 다음 ‘사’를 사이시옷[ㅅ]으로 하고, 따라서 이+ㅅ+오 로 붙여 읽으면 ‘이소’(50)가 된다.
마침내 이사부는 이소(50)가 되고 아주 빼어난 (헌헌)장부가 된다.
자 그러면 위에서 말한 걸걸한 장부를, 천몇백년전 한자밖에 없었던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어떻게 표기할 수 있었을까요?
(그 시절 이래 일본에는 사천 여 개에 달하는 시노래를 뫃은 ㅁㅇㅈ(마하모이?)이 전해지고 있다.)
‘어’소리도 없고 받침도 전혀 없는 부드러운 소리마디말에 익숙해 있으니까,  ‘고ㄹ고ㄹ’라고 쓰지 않았을까요?
(물론 ㄹ받침이 없으니 ‘루’나 ‘로’ 중에 소리 내기 보다 쉬운 ‘로’자로 썼겠지요.)
그러고 보니 골골 앓고 있는 사람이 생각나고, 그것을 기억하기 위해 츠근츠근
(물론 한자로 측은측은)이라고 썼죠.
다시 말하면 걸걸[짓시늉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골골[소리시늉말]을 추출하고,
측은지심의 측은을 찾아내어 측은측은을 도출하게 된 것입니다.

2016년 5월 22일 일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重用(重角 ; かつ; kassı)의 用例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重用(重角 ; かつ; kassı)의 用例
ex.1 尓苦久有者(万葉集 21) : 오래도록 미워하면
      にくくひさば > にくひさば
ex.2 不相久美(万葉集 310) : 아니본지오래라
      ふらひひさみ > ふらひさみ(furaHIsami)
ex.3 不見久有者(万葉集 311, #1785)(ふみひさば ; fumihiSAba) : 아니본지오래면
      不見日久弥(#3995)(ふみひさみ; fumihiSAmi)) : 아니본지오래라
ex.4 梶之音曽(#1152) 
    かぢのおとぞ > かぢのとぞ
ex.5 梶之音為奈利(#1152) 
      かぢのおとすなり > かぢのとすなり
ex.6 美知乃久能(#3437), 陸奥之(#396)
    みちのおくの > みちのくの
ex.7 宇知尓毛刀尓毛(#3926) = 内尓毛外尓母(#4285)
      宇知尓毛刀尓毛 = 宇知尓毛(mo) + 毛刀(soto)尓毛
ex.8 遠音尓毛(#531,#4214)
    とほおとにも > とほとにも
ex.9 五百都綱波布(#4274)
      いほつつなはふ <いほづなふ 

cf.1 無用尓布久(万葉集 51)
     (なつにふく)
     (naSSınifuku)

2014년 10월 4일 토요일

万葉集의 毛野는 애초에 固有名詞가 아니라 윗께, 아랫께 하는 普通名詞(께매;ggemae;ケマえ )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上毛野는 上野国、下毛野는  下野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할 때, 毛野의 毛는 생략해도 좋은 글자로  보이며,
따라서 万葉集의 可美氣野나 之母家野의 毛野는 애초에 고유명사가 아니라 윗께(메 or 나),아랫께(메 or 나) 하는 '윗마을 언저리' 또는 '아랫마을 언저리'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참조1
印南(#1178)(いなまえ; inamae or inammae) = 思賀麻江(しかまえ; 只前==)  

*참조2
 :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

2014년 9월 20일 토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사이시옷(및 반시옷)의 用例

사이시옷(ㅅ 또는 반시옷 ㅿ) : 뜻은 없고 앞말과 뒷말을 이어주는(또는 冠形格) 音素.

1. 사이시옷
於伎都渚尓(#3348)
可美都氣努(#3404,#3405,#3407,#3415, #3417,#3418,#3420,#3423)
可美都氣野(#3406) = 賀美都家野(#3412) = 可美都家野(#3434)
之母都家野(#3424) = 志母都家努(#3425)
等保都安布美(#3429)
於吉都麻可母能(#3524)

奥津白波(#83, #294), 奥津白浪(#306)
奥津藻毛(#162)
奥津浪(#303)
三食津國(#934), 御食都國(#933, #3234)
塩津菅浦(#1734)(しほすか) 
瀧津湍音乎(#1878)
天津領巾毳(#2041)
狭野津鳥(#3791)

常都御門跡(#174)
意枳都布可延乃 (#813)
等富都比等(#857), 得保都必等(#871), 登保都比等(#3947)

波奈都豆麻奈礼也(#3370)
五百都綱波布, 五百都々奈波布(#4274)
左日鹿野由(#917) = 雑賀野ゆ(삿가마에유)
狭日鹿乃浦尓(#1194) = 雑賀の浦に(さっかのかに)
海津路乃(#1781) = 海つ道の

佐怒都登理(記 上-4) = 狭野津鳥(#3791)
爾波都登理(記 上-4)
淤岐都登理(記 上-4), 於岐都登理(記 上-4)

宇沙都比古・宇沙都比賣(記 中-1)
建吉備津日子命(記 中-1), 大吉備津日子命(記 中-1)
吉備津彦命(紀 巻四)

伊叱夫禮智干岐,伊叱夫禮知奈末(紀 巻十七)

菜採須兒(#0001)

2. 반시옷()
 稲日野毛(#253) (いなㅿまへも)
  *cf.1 稲見野能(#938) = 印南野者(#1178) = 印南野乃(#1179)
 稲日都麻(#509) (いなㅿつま > いなづま ) (4音節)
  *cf.2 伊奈美嬬(#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