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万葉集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万葉集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8월 19일 금요일

万葉集,萬葉集, mahamoi : 양천구(陽川區)의 陽川을 만엽집 식으로 읽으면 '야나'입니다. [continuandum]

양천구(陽川區)의 陽川을 만엽집(萬葉集) 식으로 읽으면 '야나'입니다.
애초에 양천구의 양천이 楊川인 줄 알고 버들(ya) 양에 내(na) 천 해서 야나로 할까 하였는데, 알고보니 양천의 양 자가 버들 양(楊)이 아니라 볕 양(陽)이므로 양천의 두 글자 모두가 훈(訓)으로 야나가 되는 것이 아니고, 陽자는 音(YaU의 앞부분 Ya)과 川자는 훈으로 나(내)자를 취하는 소위 音訓Blending으로 '야나'가 되며, 訓으로만 또는 音만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독법(読法)과 대비할 수 있습니다.

多 : まね(ひ) < 많이(많다)
[澤] : (참)(다) < 하고 하다
恋(koy) : こひ > こい : (다)
白 : < 뢰다
泉 : さみ ; 사미 > 샘 
泉 : いずみ > 일미 > spring

ころごろ(惻隱惻隱) < 골골 < 걸걸
有 : と ; (十五) =又=復=亦

韓國鳥(からす) : 가라(가락; 가야)의 새(す)

2018년 12월 30일 일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앞시옷(된시옷)의 用例

1.古事記
須佐: すさ; sısa >ssa
古事記 上-2 神代記(建速須佐之)
古事記 上-3 天照大神と須佐之男命(須佐之男命)
古事記 上-4 大国主命(可參向須佐能男命所坐之根堅州國)

須賣(須賣伊呂 ; 古事記 中-4 景行天皇記~成務天皇記,古事記 下-4 清寧天皇記 ~推古天皇記)

2.万葉集
渚沙=須沙 : すさ; sısa >ssa
渚沙乃入江之(#2751)
須沙能伊利江乃(#3547)
 
須麻[杉](すさ)(#413, #1460, #1633, #3354, #3454, #3509, #3587, #3645, #3932)
須米(#4121,#4154,#4370)
爲間(すさ)(#947)
爲兒(すこ)(#1742)=酢兒(すこ)(#2156)
酢[爲]軽(すか)(#1979)(#3791)
須賣(#3688,#4089,#4094,#4097,#4098,#4122,#4267,#4465)

酢衣(すき)(#2866)
住吉(すき)(#65,#121,#394,#931,#932,#997,
             #1002,#1020,#1146,#1148,#1149,#1153,#1156,#1158,#1159,#1273,#1275,#1886,
             #2244,#2646,#2735,#2797,#3076,#3197,#4243,#4245)
墨吉(すき)(#283,#1150,#1361,#1740,#4245)
墨江(すみのえ >すめ(須米)(sıme >>sısa >ssa)(#1144,#3791,#3808)
墨之江(すみのえ)(#3801)

*須賣 > 須買 > 須米(すさ; sısa >ssa) : 米 [慶尚道方言]

2016년 10월 16일 일요일

万葉集 2230 :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こいさも いなばもれ へゐば ともしふら あきのゆか 사랑해싸도 이나시들해 집에있으면 불길없는 가을늦바람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こいさも いなばもれ へゐば ともしふら あきのゆか.)
(koysamo inabamore hewiba tomosifura akinoyuka.)
(괴사모 이나바모레 헤위바 도모시후라 아키노유카.)
사랑해싸도 이나시들해 집에있으면 불길없는 가을늦바람.

原文: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cf.1 戀 : こひ(kohi) >こい(koy) = 괴(다)

2016년 5월 22일 일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重用(重角 ; かつ; kassı)의 用例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重用(重角 ; かつ; kassı)의 用例
ex.1 尓苦久有者(万葉集 21) : 오래도록 미워하면
      にくくひさば > にくひさば
ex.2 不相久美(万葉集 310) : 아니본지오래라
      ふらひひさみ > ふらひさみ(furaHIsami)
ex.3 不見久有者(万葉集 311, #1785)(ふみひさば ; fumihiSAba) : 아니본지오래면
      不見日久弥(#3995)(ふみひさみ; fumihiSAmi)) : 아니본지오래라
ex.4 梶之音曽(#1152) 
    かぢのおとぞ > かぢのとぞ
ex.5 梶之音為奈利(#1152) 
      かぢのおとすなり > かぢのとすなり
ex.6 美知乃久能(#3437), 陸奥之(#396)
    みちのおくの > みちのくの
ex.7 宇知尓毛刀尓毛(#3926) = 内尓毛外尓母(#4285)
      宇知尓毛刀尓毛 = 宇知尓毛(mo) + 毛刀(soto)尓毛
ex.8 遠音尓毛(#531,#4214)
    とほおとにも > とほとにも
ex.9 五百都綱波布(#4274)
      いほつつなはふ <いほづなふ 

cf.1 無用尓布久(万葉集 51)
     (なつにふく)
     (naSSınifuku)

2015년 9월 9일 수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이와레(いはれ; 伊波禮; ihare) : 미리 점지된 약속의 땅

아래 万葉集 및 古事記의 用例에서 보듯이 いはれ(이와레; 伊波禮; ihare)는 미리 점지된 약속의 땅(or 人 or 物)을 의미한다.

성경(舊約)의 야훼 '이레' 혹은 백제(百濟) 위례성(慰禮城)의 '위례'(ゐれ)와 어원이 같을 것으로 보인다.

(#0312)所言
(#0443)所云
         磐余,石村
(#0022)盤村(古事記 上-2 神代記; 湯津石村)

▼古事記 上-1 神倭伊波禮毘古天皇
▼古事記 上-7 神倭伊波禮毘古命
▼古事記 中-1 神倭伊波禮毘古命
▼古事記 下-2 坐伊波禮之若櫻宮
▼古事記 下-4 坐伊波禮之甕栗宮

▼神日本磐余彥天皇 神武天皇(紀-三 神武天皇紀)

cf1. 所言 ; 말씀하신 바
cf2. 磐余 ≒ Petros
cf3. 서울(Seoul) 松坡區 石村洞의 石村(いはれ) 
cf4. 夢村土城의 夢村(いれ) vs 風納土城 , 風納洞의 風納(かれ)

2015년 6월 7일 일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ㅁ받침의 用例

#0884  計布夜須疑南(kefuyosugiNAM)
#0886 伊能知周疑南(inotisugiNAM) [一云 和何余須疑奈牟](wakayosugiNAM)
#0891 阿我和加礼南(agawakareNAM)( [一云 相別南](sareNAM)
#0997 戀度南(koiwaNAM)

#0005, 0029, 0199, 0207, 1335, 1453, 1792, 2236, 2898, 2992 手次,手次(TAMtaki)
#0635 社所念(TAMkoboso) 고보소
#0023 藻苅麻須(TAMmokamasu ; tamamokamas)
#0040 裳乃須十二(TAMmonosusoni ; tamamonosusoni)
#0250, 0936, 0943 藻苅,藻苅(TAMmoka)

#0915 所思(bosiKIM) (들어)보시려무나
#1289 鳥猟為(kariseKIM)  (새)사냥하려무나
#3688 夜杼理須流(yadorisuruKIM) 묵으려무나
#3825 息此(yamiKIM) 쉬려무나

#1022 手向(たむ) =為(ため)=tam

2015년 6월 6일 토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liaison(및 確連)의 用例

(万葉集 22) 湯津盤村(yutihare): yutu +ihare > yut + ihare > yuTIhare
                湯津盤村 = 湯津石村 : ゆついはれ>ゆちはれ(yuTIhare)
(#38)黄葉頭刺理 = 黄葉加射之(nibakasari)
         加射之 (ka + sa(l) + i) (가살+이) >가사리(かさり)
(#55,#298,#3154)亦打山(matume) = 真土山(#543), 信土山(#1680)(matume),(#3009)又打山(matume) > 松山
(#88) 穂上尓霧相(ほかにきらひ ; hokaniKIRAHI)
   (alternatively : ほかにむさ)
(#117) 益卜雄(masurawo) ますらを ma(s) + urawo > maSUrawo
(#308)常磐成, (#922)多吉能床磐乃, (#988)常磐尓座, (#2444)常石有
           toko>tok + iha > tokiha(ときは)
(#387,404)無有世伐(nakariseba), (#540)為便無有都流(subenakarituru), (#606)止時無有(yatonakari), (#1857)春無有来(harunakare) : 無(NAk) + 有(ARI) > NAKARI
(#114)事痛有登母 こちたとも : koto>kot + ita
(#116)繁美許知痛美 しげみこちたみ ditto
(#538)繁言痛 しげこちた ditto
(#748)辞痛吾将為 こちたせむ ditto
(#1343)事痛者 こちたば ditto
(#2535)人尓事痛 とにこちた ditto
(#2895)繁三言痛三 しげみこちたみ ditto
(#2938)繁三毛人髪三 しげみそちたみ soto(毛) > sot + hita
(#146)君之結有(kimigaYUHU, (#763)結有者(YUHUba)
(#289)張而懸有(harikaku)
(#537)君伊之哭者(kiM + i > kimi)
(#565)照有月夜尓(tereruyoni) 
(#622)汝乎社念(nawosamohi ; なをさもひ)
(#635)珠社所念(tamasabone ; たまさぼね)
(#1075)海原之(BARA ; 바라 > 바다), (#252)泉郎跡(BARATO < BARAHITO = 海人)
(#1301)玉故(ため <たまゆゑ ; tam+yuwe)
(#2229)玉作有(tamtuku ;玉月)
(#2791)貫有玉之(nukutamsi)
(#3856)作有流小田乎(つくる)

*去来者
1. 春去来者(#16, #199, #260, #1830, #1832, #3221) : harioba 봄[発]이오면
2. 秋去来者(#1047) : akioba 가을이오면 (春 vs 秋)
3. 夕去来者(#45, 1816) : yuhioba 저녁이오면
4. 夜去来者(#1101) : yohioba 밤이오면

*確連
(#20)武良前野逝 =muraMA'Eyu(村前行)
(#45)坂鳥(さか), (#3092)菅鳥(すか)
(#78)所見(bomi) = 見 , (#253)可古能嶋所見 [一云 湖見]
(#655)神祇毛知寒(kamimosiran)
(#802,#804,#892)物能(もの)
(#1521)風雲者(kamowa ; 鴨は)

2015년 2월 20일 금요일

五十(イ)의 語源 : 異(コト) ; 特別的 vs 五十(いそ or いさ) ; 奇才異能的 丈夫

1. 異(コト) => 五十(イ)
   * 特別的:奇異. 異聞. 異彩. 奇才異能(特殊的才能)
2. 異斯夫 => いさ[]
   異斯夫 = 잇부(is+bu) > 잇우(is+wu) > 잇오(is+wo) >이ㅅㆍ오 (isㆍwo)  
   * 伊叱夫禮知奈末(れちなま)
3. 五十 = 五十(イ) = 五十(いそ or いさ) = 五十(さ)
   五十開(いさき; is+aki)(#931)

cf.1 : #3099(野者殊異為而)
cf.2 : 比古伊佐勢理毘古命(記 中-1) = 彦五十狭芹彦命(紀 巻四)(ひこいさせりひこみ)

2015년 2월 14일 토요일

万葉集(만엽집)에서 살펴본 이나 いな(ina ; 伊奈,稲,印南)의 意味 : 이내,바로, 直後

いな(伊奈,稲,印南) : 어떤 event가 일어난 후 아주 짧은 시간(이나,이남,이나미 ; 이내,바로, 直後) 또는 바로 접한 장소.
(いくつかのeventが起こった後, 非常に短い時間(短い後に;すぐに; 直後)または直接接した場所.)

いなつま(inatuma ; 印南都麻, 稲日都麻 ; 伊奈美嬬 ; inamituma) : 바로 그때(途端に ; just at the moment)

いなば(伊奈婆) : ...하자마자(...すぐ) ; 막 ...하면(先ほど...と) ; 막 ...했는데(先ほど...した).

參照 :
#0014(伊奈美),#303(稲見乃海之)
#78(置而伊奈婆),#3474(伊奈婆),#3477(古要弖伊奈婆),
#4008(無良等理能 安佐太知伊奈婆)
#3550(於志弖伊奈等)
#253(稲日野),#938(稲見野),#4301(伊奈美野)
#412(伊奈太吉尓),
#509(稲日都麻)
#942(伊奈美嬬),#3596(印南都麻)
#1178(印南野者 = 思賀麻江者),#1179(印南野)
#1520(伊奈宇之呂 : すぐ後ろ ; 바로 뒤)
#3351(伊奈乎可母),#3470(伊奈乎加母) : 방금이라도(今でも)

2014년 12월 31일 수요일

万葉集(만엽집)에서 살펴본 みやこ [都·京] 의 語源 ; みやこ는 宮(みや or みよ)이 있는 곳(宮処)

みやこ는 宮(みや or みよ)이 있는 곳(宮処)이며, 천자 또는 왕의 거처가 있는 곳임.

*參照
#51 明日香風 京都(みやこ)乎遠見
#3231 故王都(みやこ)跡津宮地
#3324 藤原 王都(みやこ)志弥美尓
#886 京師(みやこ)乎美武等
    京師 : 天子所居
#29 日知之御世従 [或云 自宮]
      御世従 = 自宮 ∴ 宮 = みや or みよ

2014년 11월 12일 수요일

倭,大和,日本(왜 대화 일본)을 破字 파자하면 같은 YAMATO(야마토)가 될 수 있다.

倭,大和,日本(왜.대화.일본)을 破字하면 같은 YAMATO(やまと)가 될 수 있다
如果破字倭.大和.日本可以相同YAMATO.
倭(10劃)
大和(11劃)
日本(9劃)
倭 =>大和 (*口一是女的破字)

cf1. (#1678) 昔弓 = 鵲
cf2. (#23) 白水(sami) = 泉(saem ; 샘; spring)
             白水= 出水(일미; ilmi; いるみ > いづみ) = 泉
                     出雲(일모; ilmo; いるも >いづも)
cf3. 海 : 水(mi) + 毎(koto) > みこと
cf.4 紫 > 此糸(いと) : 齋戸
cf.5 木 > 八十(やそ)
cf.6 智男雲(#160) > 知田雨日力云(したまひりふ) : 下玉拾ふ

2014년 11월 6일 목요일

万葉集(만엽집)에서 살펴본 古(いにしえ < いにしへ; inisihe; 예)의 語源 어원 : いにし(去) + へ(者,家,部,鄕) ; 지나간 것(또는 때)

古 = いにし

いにし(去) + へ(者,家,部,鄕,日,邊)
지나간(去) + 것(또는 때)
지나간(옛) + 것(터,곳,고을,마을,집) => 예(ye)
古 = 昔 = 去(いにし)

*參考
古尓之郷(#103)
古部(#46, #3791)
古家(#1798)
去家(#2628)
昔者(#378, #1096)
立西日(#443)
去尓之日(#3863) 立尓之日(#1910)
伊尓之敝(#3973, 3985, 3986, 4094, 4099, 4119, 4122, 4467), 伊尓之邊(#4003)

2014년 11월 1일 토요일

万葉集에 나오는 八隅知之,安見知之 등 やすみしし는 あみしか로서, 아십니까? 아시나요?로 해석함이 바람직. (削除합니다. =>特定先行語)

万葉集에 나오는  八隅知之,安見知之 등 やすみしし는 あみしか(amisika)로, 
아십니까? 아시나요? '당연히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当然知っておくべき重要な事項)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やすみしし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万葉仮名는 #4266의 安美知之(あみしか)입니다.
cf.1 
八隅知之(#0003, #36, #45, #50, #52, #152, #155, #159, #162, #199 등)
安見知之(#38, #204, #329, #917, #926, #1062)
安美知之(#4266)

高嶋之(#1171, #1172, #1690, #1718, #1734) = 아심까(asimka)?

2014년 10월 22일 수요일

만엽집 총 4516수 중 511군데에 나오는 이모(いも; 妹)는 남자가 여자를 이무롭게 일컫는 말로서 처 또는 연인을 뜻한다.

万葉集의 전체 4,516首 중 511군데(万葉仮名분 除外)에 나오는 이모(いも; 妹)는, 남자가 여자를 이무롭게 부르는 말로서 主로 妻 또는 戀人을 뜻한다.

근자에 식당 등의 여자종업원(또는 식당주인)을 부를 때에 비속어로 사용하는 '이모'라는 말이 혹시 1400년 전 일본에서 쓰던 말이 되살아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cf.1 妹(いも) : 男が女を親しんでいう語. 主として妻・恋人をさす.

2014년 10월 4일 토요일

万葉集의 毛野는 애초에 固有名詞가 아니라 윗께, 아랫께 하는 普通名詞(께매;ggemae;ケマえ )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上毛野는 上野国、下毛野는  下野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할 때, 毛野의 毛는 생략해도 좋은 글자로  보이며,
따라서 万葉集의 可美氣野나 之母家野의 毛野는 애초에 고유명사가 아니라 윗께(메 or 나),아랫께(메 or 나) 하는 '윗마을 언저리' 또는 '아랫마을 언저리'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참조1
印南(#1178)(いなまえ; inamae or inammae) = 思賀麻江(しかまえ; 只前==)  

*참조2
 :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

2014년 9월 30일 화요일

万葉集 天豊財重日足姫 (あたたかひ あし ; atatakahi assi)

天豊財重日足姫天皇

天豊財重日
atatakahi(あたたかひ)

足姫 = 姫
assi ; 아씨 ; ひめ

cf.1 万葉集 01/0007
題詞 明日香川原宮御宇天皇代 [天豊財重日足姫天皇] / 額田王歌 [未詳]

2014년 9월 20일 토요일

古事記・日本書紀・万葉集에서의 사이시옷(및 반시옷)의 用例

사이시옷(ㅅ 또는 반시옷 ㅿ) : 뜻은 없고 앞말과 뒷말을 이어주는(또는 冠形格) 音素.

1. 사이시옷
於伎都渚尓(#3348)
可美都氣努(#3404,#3405,#3407,#3415, #3417,#3418,#3420,#3423)
可美都氣野(#3406) = 賀美都家野(#3412) = 可美都家野(#3434)
之母都家野(#3424) = 志母都家努(#3425)
等保都安布美(#3429)
於吉都麻可母能(#3524)

奥津白波(#83, #294), 奥津白浪(#306)
奥津藻毛(#162)
奥津浪(#303)
三食津國(#934), 御食都國(#933, #3234)
塩津菅浦(#1734)(しほすか) 
瀧津湍音乎(#1878)
天津領巾毳(#2041)
狭野津鳥(#3791)

常都御門跡(#174)
意枳都布可延乃 (#813)
等富都比等(#857), 得保都必等(#871), 登保都比等(#3947)

波奈都豆麻奈礼也(#3370)
五百都綱波布, 五百都々奈波布(#4274)
左日鹿野由(#917) = 雑賀野ゆ(삿가마에유)
狭日鹿乃浦尓(#1194) = 雑賀の浦に(さっかのかに)
海津路乃(#1781) = 海つ道の

佐怒都登理(記 上-4) = 狭野津鳥(#3791)
爾波都登理(記 上-4)
淤岐都登理(記 上-4), 於岐都登理(記 上-4)

宇沙都比古・宇沙都比賣(記 中-1)
建吉備津日子命(記 中-1), 大吉備津日子命(記 中-1)
吉備津彦命(紀 巻四)

伊叱夫禮智干岐,伊叱夫禮知奈末(紀 巻十七)

菜採須兒(#0001)

2. 반시옷()
 稲日野毛(#253) (いなㅿまへも)
  *cf.1 稲見野能(#938) = 印南野者(#1178) = 印南野乃(#1179)
 稲日都麻(#509) (いなㅿつま > いなづま ) (4音節)
  *cf.2 伊奈美嬬(#942)

2007년 3월 12일 월요일

Positive Sourcing - CJK Project : 万葉集

Why positive sourcing is needed in Korean Market?
Semantics
Thesaurus
almost nil exposure to Roman character users
sincerity / transparency / integrity
manipulated ranking
mother tongue ( mother <> mama)
Will Shanghainese remain as a vernacular for several decades?
misencoding ---> spam ?
keywordbase
Typed or Clicked key words?
Automatically Connected Enough
Dynamic Positioning System(KW Search)
fallacy of categories
diffusion-manipulated
UCC vs Blog
global standards
advanced culture
limited to game and entertainment
to neglect potential customers /markets ( or any other stakes)
redirection
algorithm
Kanji
The easiest way to link Korea with Japan and China